본문 바로가기

예술학

극장의 변천사 2

극장의 변천사 2

 

1) 서양

 

④ 르네상스 시대의 극장

르네상스 시대와 더불어 연극은 문화의 중심을 이루며 유럽 전 지역으로 급속하게 퍼져나갔다. 여전히 교회에 기반을 둔 성스러운 마차 행렬 무대의 공연이었으나, 세속적인 연극이 다시 나타나 지배적인 연극 형식으로 자릴 잡았다. 그로 인해 약 1,000년간 금지되었던 극장 건축이 활기를 띠었다. 고대 그리스나 로마 시대의 형식과 구조에 대한 강한 관심 때문에 대부분의 극장은 비트루비우스의 건축 관련 저술에 묘사된 그리스나 로마 시대의 극장과 비슷한 형태를 기본으로 하였다. 물론 고대의 양식을 모방하였지만, 극장 디자이너들은 나름대로 매우 흥미롭고 기발한 변형을 가했다.

 

이탈리아 비첸차에 건축된 테아트로 올림 피고가 이러한 극작 가운데 하나다. 1580년과 1585년 사이에 지어진 이 극장은 고대 로마 극장의 양식에 따라 디자인되었다. 가장 중요한 변화는 바로 극장이 최초로 실내화되었다는 것이다. 카베아 혹은 객석은 정확한 반원형이 아닌 타원형으로 변화되었다는데 이 작은 변화가 극장의 시장성을 향상시키는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스캐네 프론스'는 이제 더 이상 전체가 하나로 된 장식적인 벽체가 아니라 몇 개의 아치로 분리되었다. 거리 장면을 나타내는 정교한 영구 장치물이 아치 뒤편 경사 무대 이에 원근법에 따라 지어졌다. 르네상스 시대 극장의 무대 바닥은 경사져 있어 무대 배경 장치의 시각적 효과를 증대시켰다. 배우들은 주로 경사 무대 앞쪽의 연기 구역에서 공연하였다.

 

두 번째로 중요한 르네상스 시대의 변화는 바로 정교하게 그려진 배경 장치의 도입이었다. 보통 희극이나 비극, 전원 목가극에 사용될 수도 있도록 배경 막에 그려진 고정, 보유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프로시니엄 또는 액자 틀 무대의 발전을 촉진했다. 배경 막은 무대 뒤편에 걸려 있었다.

 

⑤ 엘리자베스 시대의 극장

유럽 대륙의 르네상스와 비슷한 시기에 영국에서는 다른 구조의 연극이 제작되었다. 극장들은 대부분 1600년경까지 런던 외곽에 지어졌다. 이 가운데 가장 유명한 극장이 셰익스피어의 근거지였던 '지구극장(1599~1632)이다. 당시의 극장들은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었어도 기본적인 형태에 있어서는 거의 비슷했다.

 

전형적인 엘리자베스 시대의 극장의 무대는 야외의 큰 단상 무대였다. 무대 높이는 바닥에서 1.2~1.8m 정도 올라와 있었다. 단상 무대는 주로 하층민이 서서 보는 자리였던 피트로 둘러싸여 있었다. 무대 뒤편에는 내부로 표현하는 구역이 있었다. 이 구역의 모양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남아 있다. 혹자는 이것을 무대 뒷벽까지 연결되어 커튼이 드리워진 밀폐 구역으로 보기도 하고, 혹자는 여기에 지붕이 있고 삼면이 커튼으로 둘러쳐져 무대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었다고 보기도 한다. 또 한편에서는 이런 공간이 아예 없었다고 보기도 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든 이 내부 구역 양편으로 등장, 퇴장용의 문이 있었던 것은 확실하다.

 

무대, 피트, 무대 뒷벽은 갤러리와 좀 더 부유한 후원자나 귀족을 위한 박스 석으로 구성된 3층짜리 건물의 외관으로 둘러싸였다.

 

무대 배경 장치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다만 바위라든가 나무와 같은 소품이 다양하게 사용되었다는 기록만이 있을 뿐이다. 

 

⑥ 왕정복고기의 극장

1500년대 중반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시각적 효과에 대한 관심이 있고 난 뒤 100년간 유럽 전역으로 급속하게 퍼져나갔다. 1660년경 극장의 건축양식과 무대 장치의 유형이 영국과 유럽에서 일전한 표준 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극장은 우선 직사각형이었고, 건물 한쪽 끝에 무대가 있었다. 경사 무대는 프로시니엄 아치의 틀로 고정되었고, 앞 무대는 객석 쪽으로 돌출되어 있었다. 엘리자베스 시대의 앞 무대나 중세 시대의 플라 테아처럼 이 앞 무대가 주된 연기 공간으로 기능했다.

 

이 시대에 접어들면서 지방색을 강조하며 무대장치가 매우 정교해졌지만, 여전히 작품의 사건이 발생하는 환경보다는 작품의 시각적 배경을 제공하는 기존의 전통이 지켜지고 있다. 이동식 배경 막, 다리 막, 머리 막이 원근법적으로 그려져 경사 무대에 배치되었다. 경사진 무대는 원근법적 배경 그림에 의해 창조의 깊이감을 더해주었다. 작품은 대게 일반적인 장소 (거실, 뜰, 궁전, 정원 등)에서 발생하는 사전을 그렸고, 극장에는 이처럼 다양한 장면을 묘사하기 위한 보유 장치가 있었다. 작품의 사건이 도서관에서 발생한다면 도서관 배경 장치가 사용되었다. 극장에서 도서관 장치가 없을 경우엔 거실과 같은 다른 보유 장치로 대체하였다.

 

이 시대 극장들의 객석은 귀족 계급을 위한 박스 석, 입장료를 더 지불 한 관객을 위한 갤러리, 하층민을 위한 (공연하는 것을 보고 싶은데 돈이 없거나 더 나은 좌석이 금지된 계층) 피트 석으로 구성된 전통적인 구조를 따랐다. 이러한 양식의 프로시니엄 극장은 매우 현대화되었다. 경사 무대로 된 극장이 여전히 존재했지만 점차 새로운 구조의 극장에서는 평평한 무대가 설치되었다. 19세기 말까지 극장은 이런 양식으로 건축되었다.

 

 

'예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장의 변천사 4  (0) 2022.08.10
극장의 변천사 3  (0) 2022.08.02
극장의 변천사 1  (0) 2022.08.02
무대 기술의 역사적 배경 3  (0) 2022.07.31
무대기술의 역사적 배경 2  (0) 2022.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