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 기술의 역사적 배경 3
5) 18세기, 19세기, 20세기
18세기가 시작될 무렵 서부 유럽의 극장 대부분에서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 개발된 원근법적 무대 기술이 채택되었다. 이 기술은 향후 150년에서 200년간 극장의 제작 부분을 지배해왔다. 동시에 이 시기에는 몇 가지 새로운 흐름도 있었다. 1703년경에 '비비에나'가 다각의 원근법을 도입시켰다. 중앙의 단일 소실점 원근법에서 발전된 이 원근법은 무대 장치의 측면이나 무대 밖을 이용해 2개 이상의 소실점을 만들어 냈다. 이 기술로 '비비에나'는 공연 공간으로 인식되는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었다. 거리나 복도, 통로를 나타내는 곳에 평판을 세우되 어떠한 방향으로든 향하게 했다. 그는 또한 객석의 건축과 조화를 이루어 장치를 측정하고 위치시키던 당시의 일반적인 관행을 포기했다. 이러한 조건에서 장면을 마주 보는 열은 단일 원근법의 장면을 형성했고 바닥에서 지붕까지 완벽하게 시야에 들어왔다. '비비에나'의 측정은 실제에 가까웠다. 무대 앞에 위치한 구조물들은 프로시니엄 아치 위로 극적으로 솟아오르는 것처럼 보였다.
이 시기에 활동한 다른 재능 있는 디자이너들뿐만 아니라 '비비에나'와 그의 가문의 천부적인 예술성 분에 무대 기술과 시각적 효과는 점차 제작상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고, 극장의 장치도 크기가 커지기 시작했다. 18세기 중반 이전에 대부분의 극장은 작품에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고정, 보유 장치를 보유하고 있었다. 대개의 경우 영구적인 전면 장치나 맨션 앞에서 공연을 올렸다. 그러나 장치가 중요해짐에 따라 새로운 무대 배경의 사용이 일반화되었고, 곧 무대장치는 특정 희곡이나 공연에만 사용되었다. 동시에 지방색을 드러내며 실제 장소를 묘사하는 데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18세기 후반에 분위기가 디자인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고, 빛의 정조적인 특징이 강조되었다.
건축적으로 극장은 점점 커지고 무대 자체가 매우 깊어져 무대장치의 원근법이 강조되었다. 우리가 오늘날 알고 있는 대로 돌출무대의 전신이 1674년 런던의 '브루어리 레인 극장'에서 형성되었다. 파리에서는 1800년대 초반에 독립적인 장치 제작소가 등장해서 극장에 딸린 제작소를 대신하였다. 그려진 바닥 천이 1846년경 파리에 처음 나타났다. 1816년 필라델피아의 체스 넛 극장에서 최초로 무대 조명으로 가스등을 사용했다.
19세기 후반에는 무대장치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쓰기 위해 공간이 확장되었다.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도 확장되었고, 어떤 극장에서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기도 했다. 계단이나 덧마루 같은 입체적인 장치 요소들이 빈번하게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들은 공연자와 장치 사이의 상호작용을 유도했다. 이 시기에 이르러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원근법적 무대 기술의 영향이 마침내 줄어들고 그 대신 자유로운 배치의 개념이 생겨났다. 자유로운 배치에 따르면 막 장치 시스템이나 채리엇-앤드-폴 시스템은 무시된 채 장치들이 무대 위에 배치된다. 실제도 무대장치는 본질적으로 무대 어디에나 놓일 수 있게 되었다.
19세기 말에는 근대적인 공연 양식이 출현하면서 중요한 기술 혁신이 이루어졌다. 아피아와 크레이그 두 명의 장치 기술가가 거론되는데, 이들은 오늘날 표준으로 여겨지는 극장 무대장치 관행의 길을 터놓았다. 이들은 서로 떨어져 작업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공통점을 보였다. 즉 예술 형태로서의 연극이 근대 사회에 봉사해야 한다는 등등 비슷한 생각을 개진했다. 그들의 생각과 주장은 연극과 공연 제작 전반에 걸쳐 파급되었고, 장치 디자인의 혁신은 상당했다. 아피아는 입체적인 장치(계단, 경사면, 덧마루 등)를 사용하여 무대 바닥의 수평면과 똑바로 세워진 장치의 수직선 사이의 전이를 유도했다. 배우와 무대장치의 통일성은 연극 요소들을 통합해서 더욱 가지가 있는 채로 만드는 데 도움을 주었다. 아피아는 대본에 나와 있는 지역을 묘사하기 위해 매번 다른 무대 장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반면 크레이그는 단일 무대장치로 대본 전체의 핵심을 표현하는 데 관심이 있었다. 그의 노력은 무대상에 어떤 장소를 곧이곧대로 재현하기보다는 관객의 마음속에 어떤 장소나 시대를 상상하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두 사람 모두 보다 단순화된 장식과 융통성 있는 무대 장치를 선호했다.
입체적인 무대 장치를 점차 중시하게 되면서 그만큼 더 무거워진 장치 요소들을 운반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혁신이 일어났다. 입체적인 무대장치에서 빠른 전환을 유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승강무대가 널리 사용되었다. 완벽한 승강 장치가 1884년 부다페스트 오페라 하우스에 설치되었다. 1896년에는 독일 뮌헨의 레지 덴츠 극장에 회전무대가 설치되었고, 1900년경 베를린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는 무대 왜건이 사용되었다.
조명 기술의 진보와 방향 지시적 조명의 사용,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디자인으로서의 무대조명의 발전이 무대 배경 장치의 성격을 바꾸기 시작했다. 17세기 이래로 연극 제작을 지배해온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연극이 마침내 도전받게 된 것이다.
20세기에는 다양한 문화적, 예술적, 운동이 공연 제작이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새로운 기술이 연극에 도입되어 연극이 제작되고 장치가 만들어지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데 일익을 담당했다. 근본적으로는 연극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는 영화나 텔레비전과 같은 다른 오락 형식이 근대적인 무대 기술을 구성하는 기술과 관행들의 혼합에 기여했다. 오늘날에는 다양한 영상기기나 컴퓨터 장비가 무대에 도입되면서 무대 기술은 날로 복잡해지고 있다.
'예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장의 변천사 2 (0) | 2022.08.02 |
---|---|
극장의 변천사 1 (0) | 2022.08.02 |
무대기술의 역사적 배경 2 (0) | 2022.07.31 |
무대기술의 역사적 배경 1 (0) | 2022.07.30 |
무대기술 (0)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