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학

무대기술의 역사적 배경 1

무대 기술의 역사적 배경 1

 

1) 고대 그리스

   맨 처음 우리가 접할 수 있는 무대 장치에 대한 귀중한 정보는 고대 그리스에서 발견된다. 기원전 5세기 중엽에 공연은 스캐너, 즉 무대 건축물 앞에서 행해졌다. 스캐너는 그리스 말로 '오두막', '천막'을 의미한다. 초기에 스캐너는 매년 개최되어온 많은 축제 가운데 하나를 나타내기 위해 세워진 일시적인 건축물로 간주하였고 이러한 구조물의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스캐너는 영구적인 극장 시설의 일부로 채택되었다.

 

   아주 초기의 스캐너 디자인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확신할 수는 없지만, 대체로 벽이나 기둥은 있고 벽이 없는 곳으로 통하는 한두 개의 문과 통로가 있고 지붕이 있었다고 한다. 스캐너 앞에서 공연하는 배우들에게 포괄적인 장면 배경의 구실을 한 것이다. 그 당시에 상승 무대가 있었는가의 여부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있었다면 배우가 스캐너에서 공연 공간(오케스트라)으로 내려갈 때 사용한 계단 정도가 아니었을까 짐작할 뿐이다. 오늘날 '오케스트라'라는 단어는 극장 건축상 극장 1층에 있는 객석 공간을 뜻한다.

 

   조사에 따르면 스캐너에 부착된 채색된 판자들은 공연이 진행되는 동안 장치를 전환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판자들로 교체되었다. 이러한 판자를 파나 카스라고 불렀는데 오늘날 평판의 기능과 매우 흡사하다. 평판은 장소 등을 재현하기 위해 그림을 그려 넣은 직물이 부착된 사각의 나무틀을 가리킨다. 그리스에서 장면 전환을 위해 사용한 또 다른 장치로 페리 아악 토이가 있었다. 이것은 세 개의 그림으로 그려진 판자로 구성되어 장면이 변할 때마다 회전하면서 각각의 새로운 면을 드러냈다. 이 아이디어는 오늘날에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응용되고 있다.

 

   또한 당시에는 몇 가지 극장 기기가 특수효과용으로 사용되었다. 에키 클레 마는 극적인 장면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 기기장치였다. 에키 클레 마의 정확한 형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추측건대 덧 마루나 수레처럼 생겼고 스캐너에 달리 문 가운데 하나를 통과해서 (혹은 회전의 형태로) 들어왔을 것이다. 좀 더 연극적이고 시각적인 효과를 자아낸 것은 마키나였다. 크레인처럼 생긴 장치인 마키나는 비행 중이거나 지구를 선회하는 사람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 '데우스 엑스 마키나'나 '신의 기계'라는 말은 작품이 신들의 개입으로 결말지어지는 경우에 쓰였다. 오늘날 이 말은 극의 구성을 해결하기 위해 예기치 않은 어떤 인물이 등장하는 경우나 억지스러운 결말을 가리킨다.

 

  기원전 336년 알렉산더 대제의 통치로 시작된 헬레니즘 시대에 다수의 중요한 변화가 일어났다. 8~13피트 높이의 무대가 일반적이었고, 무대의 앞은 '프로 스키니 온'으로 알려진 정면 장식으로 강화되었다. '프로 스키니 온'의 초기 형식은 '파나 카스'를 지탱하도록 금이 새겨진 일련의 기둥들로 구성되었고 높임 무대의 후면에는 또 다른 정면 장식이 있었는데 '에피 스키니 온'이라 불렸다. 처음에는 세 개의 문에 맞았고, 나중에는 7개의 큰 입구에 맞을 만큼 크기가 변형되고 확대되었다.

 

2) 고대 로마

로마인들은 그리스인들로부터 극장을 차용했고 그들이 사용한 장염 배경 장치들은 그대로 도입하여 비극과 희극에 사용하였다. 로마인들은 무대를 스캐너라고 불렀다. 무대의 정면 장식은 '스캐너 프론 스'로 알려졌다. '스캐너 프론 스'는 기본적인 장면 배경의 역할을 했다. 그리스 시대의 스캐너와 마찬가지로 세밀하게 건축되었고 서로 구별되는 집이나 궁전을 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이 여럿 달려 있었다.

 

'테리 악 토이'도 지속해서 차용되어 장면 전환을 용이하게 한 데 사용된 중요한 장치였다. 로마의 기술자들은 승강 무대 등 극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기계 장치들을 발전시켰다.

 

3) 중세

중세 시대에 배경 장치는 먼저 '맨션'이라 불리는 구조물로 구성되었다. 배경이 공연 공간 주변 또는 지역에 따라서는 수레로 형성된 무대를 따라 배열된 맨션들로 구성된 것이다. 각각의 '맨션'은 특정 지역을 규정했다. 배우가 '맨션'을 이리저리 이동할 때마다 장면이 변화되었다. 그 당시 특수효과는 특히 중요했다. 그 때문에 전반적인 창작과 연극적 재현의 성공에 기술자나 기계공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여겨졌다.

'예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장의 변천사 2  (0) 2022.08.02
극장의 변천사 1  (0) 2022.08.02
무대 기술의 역사적 배경 3  (0) 2022.07.31
무대기술의 역사적 배경 2  (0) 2022.07.31
무대기술  (0) 2022.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