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학

공연 제작 기술 2

공연 제작 기술 2

 

2. 작화

 

가) 작화 도구

페인트 프레임 : 큰 배경 막을 세워놓고 그리기 위해 평형추 시스템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위아래로 움직이는 프레임

                          장치 제작소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나 페인트가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다.

 

이동 작업대 : 무대 장치 설치 시 혹은 배경 막을 세워놓고 그릴 경우 필요한 장비이며,

                     공연할 때 장치 뒷면의 계단으로도 이용된다. 바닥은 카펫으로 마감하는 것이 좋다.

 

붓 : 붓의 크기와 종류는 다양하며 칠하기와 선 긋기용이 있다

.

물통 : 사용하는 양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여 구비한다.

 

직선 자 : 직선을 그을 때 사용한다.

 

대나무 막대 : 그림을 그리거나 선을 그을 때 사용하며, 허리를 굽히고 일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 화가를 보호한다.

 

페인트 카트 : 여러 종류의 페인트와 그림을 그릴 할 때 필요한 공구들을 올려놓고 쉽게 운반할 수 있는 장비이다.

 

수중 히터 : 끝부분이 니크롬선으로 되어 있어 액체를 쉽게 끓일 수 있다.

 

압축 분무기 : 에어 컴프레서를 사용한 압축 공기의 힘으로 페인트를 분사하는 장치로 입자가 곱다.

 

분무기 : 수동으로 공기를 압축하고 이 공기의 힘으로 페인트를 분사하는 공구이다.

              입자가 커서 주로 무대에 때를 묻혀 오래되어 보이게 하거나 왁스를 뿌려 습기로부터 무대를 보호할 때 사용한다.

 

나) 페인트와 안료

무대에서는 여러 종류의 페인트와 안료가 사용되는데 그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들이 아래의 종류이다. 현대에 와서는 기술의 발전으로 아래의 목록 외에도 사용되는 것들이 많다.

 

분말 안료 : 가장 오래되고 전통적으로 극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종류의 하나이다.

                  주로 본드 (바인더)와 항상 함께 사용하여야 하며 그냥 물만 섞어 사용할 경우 마르고 난 후 떨어지거나

                  묻어나는 경향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작화가 끝난 후 비닐이나 라텍스 혹은 카세인을 사용하여

                  마감하기도 한다.

 

카세인 : 비닐과 함께 흔히 사용하는 종류이다.

              카세인은 자체적으로 바인더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바인더와 섞는 불편함이 없고 농도를 줄일 경우 따뜻한 물과                  섞어 사용한다. 마르고 난 후 방수 효과가 뛰어나고 비누를 사용하여 지울 수 있다. 그리고 마르고 난 후 색이

              조금 엷어지는 경향이 있다.

 

수성 페인트 : 액체 상태로 판매되며 바인더를 포함하고 있고 물로 희석한다.
                      색상이 화려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아닐린 염료나 카세인과 혼합하여 그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약간의 광택을 가지고 있어 평판이나 마루에 칠하기 적합하다. 광목이나 캔버스에 사용하기

                      좋으며 방수 효과가 뛰어나고 나뭇결이나 마블링의 효과를 내기에 적합하다.

 

라텍스 페인트 : 여러 종류의 색으로 생산되나 마르고 난 후 색이 창백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고, 자체적으로 반인더를

                          포함하고 있으며 물로 희석하고 영구적으로 지워지지 않는다. 플라스틱이나 유리같이 통기성이 없는

                          표면에는 금방 벗겨져 버리므로 사용할 수 없다. 무광택, 광택 그리고 투명한 것 등 여러 종류로 생산되며                            물의 양으로 광택 성을 조절한다. 작화가 끝난 그림 위에 칠하면 색이 더 풍부해진다.

 

아닐린 염료 : 가루와 고체로 판매되며 물을 섞어 사용한다.

                      지워지지 않으며 나이테를 강조하거나 스크림에 사용하여 비 사실적인 효과를 강조할 때 사용한다.

                      아닐린 염료는 그림을 더 어둡게 하여 강조할 경우에만 사용한다.

 

금속분 : 여러 가지 색으로 생산되며 가격이 비싸다. 건축물이나 장식물, 액자에 도금의 효과를 내며 금속의 광채를 낸다.

 

셀락 : 알코올로 희석해 사용하는 투명한 수지의 한 종류이다.

          광택이 뛰어나 마루나 가구에 특별한 광택을 원할 때 사용하며, 작화가 끝난 곳에 방수를 위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브론즈 파우더의 바인더로도 사용한다.

 

2) 기술

 

가) 일반적인 작화 순서

1. 초벌칠

표면에 미리 칠을 해 원하는 색이 표면에 흡수되어 변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나 광목의 경우 초벌칠을 하여 표면을 메우고 표면을 팽팽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희색이나 엷은 색으로 칠한다. 합판의 경우에는 표면을 메우고 틈새를 막기 위한 목으로 한다. 배경 막으로 사용하는 광목의 경우에는 표면을 부드럽게 하고 팽팽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2. 바탕칠

그림을 그리기 위한 기본색을 칠하는 순서로 주로 밝은 색에서 어두운색의 순서로 칠한다.

 

3. 마무리

스케치된 그림을 그리는 과정이다.

 

4. 뒤 칠하기

천 평판의 경우 불투명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 평판의 뒤에 어두운색을 칠하는 과정이다.

 

나) 컬러 휠

컬러 휠은 작 화가에게 대비되는 색과 유사한 색 그리고 색을 섞었을 때 얻을 수 있는 색의 종류를 보기 쉽게 그려 놓은 것이다. 검은 삼각형 모양이 레드, 엘로우, 블루는 색의 삼원색이다. 줄무늬의 삼각형이 가리키는 주황색, 보라색, 초록색은 삼원색의 두 색을 일 대 일로 섞었을 때 만들 수 있는 색으로 '세컨더리'라고 부른다. 그리고 점 찍힌 육각형이 가리키는 색들은 두 종류의 세컨더리를 같은 비율로 섞었을 때 만들 수 있는 색 들이다.

 

다) 작화 기법

1. 블랜드

이 기법은 부드러운 직선의 기술을 사용하여 밝은 색에서 어두운색의 변화를 점차적으로 보여주는 기법이다. 공간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고 중간 부분을 좀 더 넓게 잡는다. 제일 윗부분인 어두운 부분을 진하고 빠르게 칠한다. 다음은 기본 페인트로 역시 빠르고 진하게 칠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엷은 부분을 같은 방법으로 칠한다. 다음으로 깨끗하고 물기가 많은 붓으로 각 부분의 가장자리를 섞어주듯이 칠하고 마지막으로 넓은 붓에 물을 많이 묻히고 힘을 주어서 같은 방향으로 신속하게 칠한다. 이때 가능하면 붓을 떼지 않고 한 번에 전체를 칠하도록 하고 필요하면 깨끗한 붓으로 반대 방향으로 한 번 더 칠해주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절대로 중간부터 시작해서는 안 된다.

 

'예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연 제작 기술 4  (0) 2022.08.15
공연 제작 기술 3  (0) 2022.08.15
공연 제작기술 1  (0) 2022.08.11
목적에 따른 극장 분류 3  (0) 2022.08.10
목적에 따른 극장 분류 2  (0) 2022.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