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학

공연 제작기술 1

공연 제작 기술 1

 

1. 장치

 

1)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제작도면의 이해

 

가) 평면도

무대를 바닥에서 약 1M 정도 높이에서 좌우로 절단하여 위에서 아래로 본 그림이다. 평면도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는 중앙선, 본 무대 선, 테두리 선, 그리고 표제 란이 있다. 연출자나 배우나 평면도를 보고 행동 선을 정하기도 하며 무대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를 얻는다.

 

① 중심선 : 극장의 중간에 위치하는 가상의 선. 일 점 쇄선으로 그린다.

② 본 무대 선 : 화재 시 방화 막이 내려와 무대와 객석을 분리하는 선.

                      이 선 위에는 어떠한 장치나 대도구도 위치할 수 없으며 점선으로 그린다.

③ 테두리 선 : 제도용지 위에 디자이너가 디자인할 때 무대가 이 선 밖으로 나가서는 안 된다.

④ 표제 란 : 이름표와 같은 기능을 하며 도면의 좌측 하단에 위치한다. 여기에 들어가는 것으로 공연명, 극장 명, 연출자명,

                  디자이너 명, 도면의 종류, 척도, 도면 번호 등이다.

⑤ 극단적 좌석 : 극장에서 가장 나쁜 좌석으로, 이 두 좌석에서 관객이 무대를 보는 것을 기준으로

                          시각 선과 가림을 결정한다.

 

나) 단면도

무대를 중앙선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바라보는 도면이다. 평면도에서는 알 수 없는 장치의 높이를 알 수 있고, 조명 디자이너는 단면도를 참조하여 조명기의 위치를 정한다.

 

다) 정면도

무대를 실제로 제작하기 위해 장치 제작자에게 필요한 도면이다. 평면도를 기준으로 무대 각각의 세부적인 도면을 그리고 도면에 실제 크기와 세부적인 치수를 써넣는다.

 

라) 제작도면

장치 제작자가 무대 디자이너에게서 평면도와 입면도를 받은 후 장치를 어떻게 제작할 것인가를 자세하게 그려놓은 도면이다.

 

마) 작화도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끝낸 후 그 디자인을 무대 위에 직접 그림을 그릴 무대미술가에게 자신이 원하는 대로의 그림을 그려서 주는데 이것을 '작화 도'라고 한다. '작화 도'에는 색이나 그 색을 만들기 위한 페인트의 혼합 비율, 그리고 특별한 기법을 사용할 경우 거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첨부되어야 한다.

 

바) 제도 도구

① 제도판 : 제도판은 너무 딱딱하지도 않고 너무 무르지도 않은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② V 트랙 : 여러 종류의 제도 기계 중 하나로 수평과 수직 이동이 가능하며

                 원하는 각도로 이동이 가능하여 가장 널리 쓰인다.

③ 운형자 : 다양한 모양의 곡선을 그릴 경우 사용한다.

④ 각도자 : 다양한 각도의 선을 그을 때 사용한다.

⑤ 지우게 판 : 세밀한 부분을 지울 때 지우고자 하는 부분만을 지우기 위해 사용한다.

⑥ 축척자 : 실제 크기를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로 줄여서 도면을 그릴 때 사용한다.

⑦ 제도 연필 : 17가지 종류의 심의 강도로 구분하여 구입할 수 있다.

⑧ 템플릿 : 여러 가지 크기의 사각형, 원형, 타원형 혹은 제도 심벌로 구성된 자의 일종이다.

 

2) 2차원 장치

 

가) 천 평판에 사용하는 천의 종류

 

① 광목

가격이 싸고 여러 가지 크기로 나와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쓰인다. 좁은 폭으로 나오는 것은 평판을 만들 때 사용하며 넓은 폭으로 나오는 것은 배경 막이나 천공 막의 용도로 사용한다. 광목은 줄어듦이 적고 페인트를 잘 흡수한다.

 

② 리넨 캔버스

리넨 캔버스는 질겨서 바닥 천으로서 아주 훌륭하다. 페인트를 잘 흡수하고 줄어듦이 적으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③ 면 캔버스

면 캔버스는 리넨 캔버스의 대용으로 가장 적합하며 가격 또한 리넨 캔버스보다 저렴하여 바닥 천이나 평판 제작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④면 범포

면 범포는 가벼운 면 캔버스의 일종이다. 모든 특성이 면 캔버스와 흡사하여 약간 더 두껍고 질기다는 장점이 있으나 넓은 크기로 생산되지 않아 바닥 천으로는 사용하기 어렵다.

 

나) 일반적인 규격 문의 크기

 

1. 문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통과하는 데 무리가 없어야 하므로 적어도 넓이가 약 75cm는 되어야 한다.

    하지만 벽의 높이나 건축 양식에 따라 폭이 달라지기도 한다. 벽장이나 장식장의 문은 일반적으로 더 좁으며

    양쪽 문 높이가 150cm~220cm 정도이다

2. 문의 높이는 보통 2m에서 2m 20cm 정도이다.

3. 문의 손잡이는 바닥에서 95cm 높이에 있으며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무대 위쪽으로 경첩을 사용하여 고정한다.

 

3) 달기와 밀기

무대 장치는 제작하기도 어렵지만 만들어진 무대를 장면 전환의 필요에 의해서 하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변화시키는 데에 더 많은 기술을 필요로 한다. 하나의 세트로 전 장면을 사용하는 유닛 세트에는 달기와 밀기가 필요하지 않으나 여러 개의 장면을 요구하는 멀티 세트에는 반드시 달기와 밀기 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세트는 빠른 전환을 위해 주로 결합되어 있고, 끼워져 있고, 매달려 있다. 또한 장치들은 제작소에서 제작되어 무대로 옮기게 되는데 효과적으로 옮기기 위해서 유닛으로 만들어지거나 조립식으로 제작된다. 대부분의 극장에서 무대를 세우기 위한 시간은 극히 제한되어 있으며 관객의 집중력을 흩뜨리지 않기 위해 존재한다. 그래서 멀티 세트를 위해서는 제작 초기부터 세트를 어떻게 움직일 것인가 혹은 소품을 어떻게 움직일 것인가를 고려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가) 달기

일반적으로 달기는 다는 장치의 조립과 접합, 그리고 맞추기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달기는 그 활용이 매우 어려우며, 기술자가 얼마나 작품을 이해하느냐에 따라 연출가나 배우, 조명 기술자들, 그리고 소품, 음향 기술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달기 작업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각 장치의 평면도를 무대 바닥에 테이핑 하거나 분필로 그려 놓는다.

2. 무대 장치를 장치 제작소에서 필요한 순서대로 극장으로 옮겨 놓는다.

3. 단위 무대나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하는 조명 기구를 먼저 매단다.

4.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세트나 입체적인 무대 장치가 정확한 크기로 만들어졌는가를 확인한다.

5. 평면 장치를 제 위치에 설치한 후 고정시킨다.

6. 입체적인 무대장치를 평면적인 무대장치와 결합한다.

7. 모든 달기 장치를 제 위치에 놓고 확인한다.

8. 모든 가림막과 배경 막 그리고 오림 막들을 제 위치에 놓고 마크한다.

9. 모든 홀치기 철물과 버팀대를 확인한 후 작동하기 쉬운 위치에 놓는다.

10. 모든 장치가 테이핑을 한 것과 일치하는지 마지막으로 점검한다.

11. 공연 때 달기와 밀기에 필요한 모든 공구를 그 쓰임이 필요한 가장 가까운 장소에 위치시킨다.

12. 각 무대장치의 뒤편에 그 장치가 필요한 막과 장의 번호를 기재한다.

 

나) 달기에 필요한 도구

 

장치를 접합할 때 유용하게 사용하는 도구는 로프다. 로프는 접합하기, 달기, 당기기 혹은 배우 들기와 날리기에 사용한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로프의 상태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가장 많은 사용하는 로프의 종류로는 마닐라 로프가 있다.

 

로프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을 주의하여야 한다.

 

1. 로프를 사용할 때 코일에서 똑바로 풀어 사용한다.

2. 공기가 잘 통하고 너무 건조하지 않은 장소에 보관한다.

3. 젖은 후에 반드시 말려서 보관하고 습하지 않은 장소에 보관한다.

4. 깨끗하게 보관한다.

5. 화학 약품으로부터 안전한 장소에 보관한다.

6. 비틀림을 방지하여 보관한다.

7. 로프를 버팀줄로 사용할 경우 습기가 많은 기후에서는 늘어나는 경향이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8. 사용 시 날카로운 부분과 접하는 것을 피하여야 한다.

9. 화학적인 약품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10. 불필요한 마찰에 의해 벗겨지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

11. 갑자기 잡아당기거나 비틀거리게 하지 않는다.

12. 로프의 끝을 매번 바꾸어서 사용한다.

 

다) 달기의 원칙

 

① 태클 리깅

태클 리깅은 로프와 도르래를 사용하여 장치를 매다는 방법이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하나의 로프에 하나의 도르래를 사용하여 당기는 힘의 방향을 바꾸는 것이다. 여러 개의 도르래를 사용하여 같은 힘으로 더 무거운 무대장치를 들어 올리는 방법도 있다.

 

② 스포틀링

이 방법은 평형추나 샌드백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 장치를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쓰인다.

 

③ 새들 링

하나의 로프로 여러 장치를 끌어올리는 방법으로 주로 긴 무대장치를 들어 올린다.

 

④ 브레 스팅

이 방법은 무대장치를 단순히 수직으로 끌어올리는 것 외의 방법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예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연 제작 기술 3  (0) 2022.08.15
공연 제작 기술 2  (0) 2022.08.15
목적에 따른 극장 분류 3  (0) 2022.08.10
목적에 따른 극장 분류 2  (0) 2022.08.10
목적에 따른 극장 분류 1  (0) 2022.08.10